턱관절 치료에 사용되는 스플린트

턱턱박사's avatar
Apr 30, 2024
턱관절 치료에 사용되는 스플린트

안녕하세요 서울턱구강내과치과의원 박서은 원장입니다.

턱관절 장애의 치료는 대표적으로 약물치료, 물리치료, 장치치료, 보톡스 치료 등등이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 치료의 원칙은 환자에게 가역적인 비침습적인 치료가 우선이 되어야 하는것 입니다!"

(물론 의사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적어도 구강내과를 전공한 저는 위의 생각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용어가 어려우실 수 있는데.. 가역적이라는것은 되돌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반대 용어인 비가역적이라는것을 되돌릴 수 없는것입니다. 예를 들어 치아를 깍는 것은 비가역적이지요.

수술적 치료가 아닌 것이 비침습적이라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볼때 장치치료는 증상이 오래갈때나 심할때 선택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중요한건 적절한 장치의 선택과 치료 기간 중 담당의에게 체크를 꾸준히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장치의 종류

1. 교합안정장치

2. 전방위치장치

3. 전방교합장치

4. 후방교합장치

5. 연성장치

6. 트랙션장치

1. 교합안정장치(stabilization appliance)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턱관절 장치라고 하면 의미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2. 전방위치장치(Anterior positioning appliance)

- 흔히 ARS라고도 합니다.

요 장치는 하악을 살짝 앞으로 뺀 채로 착용하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급성으로 디스크가 앞으로 전위되어(흔히 이해하기 쉽게 빠져서) 입이 안 벌져서 온 경우. 의사가 수조작으로 디스크를 제자리로 돌려보려고 해서 성공했을때..!! 그 위치를 유지시켜주기 위해 장착하는 장치입니다.

또한 제 경험상 교통사고나 외상등으로 관절내 심한 염증과 통증이 있을때. 조직이 잘적응하고 회복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하면 통증을 줄이는데 효과가 좋습니다.

또한 거대관절음 (입을 벌리고 닫을 시 타인이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소리가 크게 나는 경우)을 줄이기 위해서도 사용되기도 하고, 아침마다 입이 안 벌어지는것을 경험하는 환자분들께도 사용 합니다.

하지만!! 이 장치는 교합이 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보통 단기간에만 사용을 하며, 사용 기간중에 꼭 담당의와 체크를 해가면서 사용해야합니다.

3. 전방교합장치

이 장치는 상악 치아에 장착하는데 하악전치만 닿게 만들어줍니다.

이 장치는 저는 한번도 써본적도 본적도 없습니다....;;

하악 어금니 부위가 위로 올라올 가능성이 커서 결국 전치부 개교합( open bite)가 생길 가능성이 크기도 하고, 효과도 다른 장치에 비해 입증되진 않아서 사용을 안하는것 같습니다.

4. 후방교합장치

요 장치는 어금니 부위만 닿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도 효과를 뒷받침 할만한 증거가 없어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5. 연성장치 (soft splint)

이 장치는 다른 장치와는 다르게 말랑한 재질로 만듭니다.

치료장치라기 보다는 예방장치라고 생각하시는게 편함이다.

운동선수가 착용하여 외상을 받을 경우 구강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요.

단점은 딱딱한 장치보다 정확하게 조절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장치적으로 턱관절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6. 악간견인장치 (트랙션 장치)

트랙션 장치는 위에 언급 드린 장치는 상악, 하악 둘중 한곳에만 장치를 장착하는 반면 트랙션 장치는 양쪽에 장치를 장착하고 그 두 장치를 고무링 같은 것으로 연결한 장치입니다.

악간견인장치는 턱관절 뼈의 손상과 앞니가 물리지 않는 개교합이 함께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데, 교합관계로 개선하고 턱관절 통증 소실 및 개구량도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하여 사용합니다.

"장치의 선택은 환자 개개인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적절한 장치(턱관절스플린트)의 선택 및

조정, 주기적인 진료를 통해 건강한 턱 되찾으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hare article

서울턱구강내과, 턱관절 이갈이 코골이